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이 궁금하셨나요? 2025년을 맞이하여 한층 더 높은 혜택으로 돌아온 청년도약계좌를 언제 신청할 수 있으며 11개의 은행에서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정리하였으니 아래의 링크를 통해 청년도약계좌 신청하여 다양한 혜택을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1. 청년도약계좌 신청
1)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 신청 기간: 첫째 주부터 둘째 주 금요일까지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은 첫째 주부터 둘째 주 금요일까지 2주 동안 평일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5년 1월에는 1월 2일 목요일부터 1월 10일 금요일까지 2주 동안 1월 4일 토요일과 1월 5일 일요일을 제외한 평일에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었습니다.
2025년 2월에는 2월 3일 월요일부터 2월 14일 금요일까지 2주 동안 2월 8일 토요일과 2월 9일 일요일을 제외한 평일에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17일 월요일부터 2월 28일 금요일까지 2주 동안은 청년도약계좌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며 조건을 충족해야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20일 목요일부터 1인 청년 가구만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으며 2025년 3월 4일 화요일부터 3월 14일 금요일까지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을 충족한 모든 청년들이 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는 기간은 대체로 첫째 주부터 둘째 주 금요일까지이지만 서민금융진흥원의 내부 사정에 따라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신청 기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언제부터 언제까지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은 11개의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원래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은 은행에 직접 방문하거나 은행 앱을 이용하는 것 중 선택할 수 있었는데 행공이라 불리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 비대면 서비스로 전환되었습니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11개의 은행 앱을 통해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11개의 청년도약계좌 신청 은행은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BNK 부산은행, BNK 경남은행, IM 뱅크(舊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이 있습니다.
다만, 해당 은행 앱에서 신청한다고 해서 바로 청년도약계좌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고 나서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을 충족해야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데 해당 기간까지 총 2주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청년도약계좌 은행 비교
- 기본금리
- 4.5%: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 4.0%: 부산은행, 경남은행, IM뱅크(舊 대구은행)
- 3.8%: 광주은행, 전북은행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는 은행마다 이자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은행에서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는 것이 이득인지 청년도약계좌 은행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의 기본 금리는 4.5%로 가장 높은 기본금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부산은행, 경남은행, IM 뱅크의 기본금리는 4%로 준수한 기본금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청년도약계좌 이자는 3.8%로 가장 낮은 기본금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기본금리와 달리 소득 및 우대금리의 경우 11개의 은행이 모두 0.5%로 동일하기 때문에 3년 동안 변하지 않는 고정금리가 가장 높은 은행에서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즉, 청년도약계좌 이자가 가장 높은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에서 청년도약계좌 개설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의 링크에서는 11개의 은행에서 제시한 우대금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11개의 청년도약계좌 은행을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3. 2025년 청년도약계좌 혜택
- 정부 기여금: 월 최대 33,000원
- 비과세 혜택: 이자소득세 면제
- 소득 및 우대금리 적용
청년도약계좌 혜택은 총 3가지로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그리고 소득 및 우대금리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 기여금의 경우 2025년에는 월 최대 33,000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은 월 최대 24,000원까지만 받을 수 있었지만 2025년에는 작년보다 9,000원이나 더 많아진 월 33,000원까지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 소득금액이 4,800만 원 초과 6,000만 원 이하라면 작년과 동일한 월 21,000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 소득금액이 3,600만 원 초과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작년보다 3,000원이 더 많아진 월 25,000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 소득금액이 2,400만 원 초과 3,600만 원 이하인 경우 작년보다 6,000원이 더 많아진 월 29,000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 소득금액이 2,400만 원 이하라면 작년보다 9,000원이 더 많아진 월 33,000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혜택은 연이율 9.54%짜리 적금을 드는 것과 동일한 수준이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여 최대한 많은 혜택을 받아 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비과세 혜택 또한 적용되기 때문에 이자소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소득 및 우대금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25년에는 작년과 달리 청년도약계좌를 3년 동안만 유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연이율 7.64%짜리 적금과 동일한 수준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청년도약계좌는 2024년에 비해 2025년을 맞이하여 한층 더 높은 혜택으로 돌아왔으니 청년도약계좌 조건을 충족한 청년들은 반드시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여 다양한 혜택을 받아 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