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기운용기능사 난이도를 알아보고 난 후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및 실기 출제기준에 대해 정리하였으니 필기 기출문제 등 다양한 기출문제를 통해 시험에 합격하고 나서 정보 관련 연관 자격증도 함께 취득하여 원하는 곳에 취업하시기 바랍니다.
정보기기운용기능사 난이도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합격률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필기 합격률 | 42.1% | 42% | 40.7% | 42.2% |
실기 합격률 | 67.8% | 70.1% | 77% | 76.4% |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4년 동안의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합격률은 41.8%이며 실기 합격률은 72.8%로 다른 기능사 시험에 비해 실기시험이 난이도가 쉬운 편입니다.
기존의 시험에 비해 2024년부터 2025년까지 2년 동안의 출제 기준이 공개되었는데 나머지는 기존과 모두 동일하지만 필기시험에서 정보통신업무규정에 대한 과목이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홈페이지에서 시험 과목에는 아직까지는 기존대로 정보통신업무규정이 시험과목으로 표기되어 있어 출제기준이 잘못 공개된 것인지 아니면 홈페이지가 새로운 출제기준을 아직 반영하지 못한 것인지 명확하게 알 수는 없으니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최신 개정된 필기 문제집을 새로 구매해서 2024년 시험을 준비하고 계셨던 수험생 분이라면 이 부분에 대해 전혀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2026년부터 정보통신업무규정이 빠진다는 소식이 들려오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걱정하지 말고 기존의 방식 그대로 공부하는 필기 공부법을 그대로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필기시험에서는 어떤 내용들이 출제되는지 아래의 내용에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는 전자계산기 일반, 정보기기 일반, 정보통신 일반, 정보통신업무규정의 4과목이 출제되며 4과목이 혼합되어 총 60문제가 출제되는데 60분 동안 시험 쳐서 60점 이상 받아야 필기시험에 합격할 수 있습니다.
우선 필기시험에 어떤 내용들이 출제되는지 알아보기 전에 정보통신업무규정이나 다른 내용이 2023년에 비해 조금 수정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2023년 필기 문제집으로 공부하기보다는 2024년을 맞이하여 새롭게 개정된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등 본인에게 맞는 필기 문제집을 새로 구매하여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따라서 아래의 링크를 통해 수험생들이 많이 구매한 필기 문제집 중 본인에게 맞는 문제집을 선정하여 구매하시기 바라며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어떤 문제집이 있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2024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2년 동안 필기시험 출제 기준에 따르면 아마도 오타일 것이라 생각하지만 필기 과목 명은 전자계산기 일반, 정보기기 일반, 정보통신 일반의 3과목이라고 소개되어 있으며 출제 항목은 총 16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024년부터 2025년까지 필기시험에 출제되는 16가지 출제 항목은 컴퓨터의 개요, 컴퓨터의 구성, 자료의 표현, 논리 회로, 프로그램의 기초, 운영체제와 기본 소프트웨어, 전기 및 전자 기초이론, 정보통신 기기, 사무정보 기기, 정보 기기 운용 관리, 정보통신 개요, 정보 전송, 정보통신 설비, 정보통신망, 멀티미디어, 정보 보안이 있습니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2023년의 출제 기준과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앞으로 2년 동안 출제되는 출제 기준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니 출제 기준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지금 바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는 네트워크 운용 기초 실무 작업형의 시험을 90분 동안 시험 쳐서 60점 이상 받아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 시험에서는 패킷 트레이서(Packet Tracer)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작업하며 이뿐만 아니라 서브넷팅이나 라우터 및 스위치 등 네트워크와 관련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문제로 꾸준히 많은 작업을 평소에 해서 실력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이기적」 출판사에서 나온 실기 기본서는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 기출문제를 12개나 보유하고 있으며 모의고사는 8개가 있어서 총 20개의 실전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기 합격률이 72.8%로 쉬운 난이도에 속해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실기 문제집을 구매해서 풀진 않아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최소 1개에서 2개 정도 문제집을 구매하여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아래의 링크를 통해 수험생들이 많이 구매한 실기 문제집 중 본인에게 맞는 실기 문제집을 구매하여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취업
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증을 취득하고 나서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취업은 고졸 채용의 경우만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적으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서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자격증 하나 만으로 취업하기엔 쉽지 않아서 고졸 채용이 아니라면 쓸모없다고 생각할 수 있으니 고졸 채용이 아닌 일반 공채로 취업하기를 희망하신다면 연관된 다른 자격증도 함께 취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비슷한 난이도를 가진 정보 관련 자격증은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과 컴활 2급 자격증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 준비하고 있는 자격증을 취득하고 난 다음 곧바로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과 컴활 2급 자격증을 동시에 취득한다면 대기업 고졸 채용도 무난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추후 다른 자격증을 취득할 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정보 관련 자격증이지만 조금 더 어려운 자격증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정보통신기사 자격증, 컴활 1급 자격증이며 더 나아가 실무 경력도 쌓았다면 궁극적으로는 정보관리기술사 자격증까지 취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따라서 본인이 고졸 채용만 노리고 있다면 다른 경쟁자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과 컴활 2급 자격증을 추가로 취득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고졸 채용뿐만 아니라 나중에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의 일반 공채도 생각하고 있다면 더 나아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정보통신기사 자격증, 컴활 1급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실무 경력을 쌓은 후에 더 높이 승진하거나 더 좋은 자리로 이직하고 싶다면 정보관리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해당 글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