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사 난이도는 응시자격도 없고 cbt로 출제되기 때문에 실기보다 필기가 더 어려워서 실기는 독학으로 공부하더라도 필기는 pdf와 필기 기출문제를 통해 꼼꼼하게 공부하시기 바라며 자격증을 취득한 후 전기기능사 취업 현실까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전기기능사 난이도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 동안의 전기기능사 필기 합격률은 34.2%이며 실기 합격률은 70.4%로 필기시험 보다 실기 시험의 합격률이 2배 이상 더 높습니다.
전기기능사 필기 합격률보다 실기 합격률이 높은 이유는 필기 응시료가 14,500원이지만 실기 응시료가 106,200원으로 7배 더 비싸서 실기 시험을 더 열심히 준비해서 이거나 전기기능사 필기 난이도가 실기 난이도에 비해 월등하게 더 높아서 그런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전기기능사 필기 합격률이 낮은 이유는 산업수요 맞춤형 및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전기기능사 시험에 응시해야 하기 때문에 필기시험을 면제받고 일정 수준의 검정만 통과하고 나면 바로 실기 시험에 응시하기 때문이며 전기기능사 응시자격이 따로 없어서 필기시험을 응시하는 분들 중 비전공자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필기 합격률이 실기 합격률보다 낮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전기기능사가 시험이 고졸 수준이며 전기산업기사 시험이 전문대 수준이고 전기기사 시험이 4년제 수준이기 때문에 전기산업기사나 전기기사 시험에 비해 전기기능사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쉬운 것은 맞지만 필기 합격률이 35% 이하이며 이때까지의 전기기능사 필기 합격률의 평균이 26%인 것을 미루어 보아 실기보다는 필기시험에 조금 더 집중해서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기기능사 필기는 전기이론과 전기기기 그리고 전기 설비의 4지 선다로 구성된 총 60문제를 평균 60점 이상 받아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기능사 실기는 4시간 30분에서 5시간에 가까운 시간이 소요되며 전기 설비 작업을 실제로 작업하여 60점 이상 받아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기능사 실기는 독학으로 공부하더라도 필기만큼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전기기능사 pdf를 포함하여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로 열심히 준비하여 한 번에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에 통과하는 것을 목표로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전기기능사 문제집 | 바로가기 |
---|---|
pdf 필기 | ▶ 전기기능사 pdf 필기 |
pdf 실기 | ▶ 전기기능사 pdf 실기 |
필기 기출문제 | ▶ 2024 『에듀윌』 8개년 필기 기출 |
필기 모의고사 | ▶ 2024 『마스터』 28회 실전 모의고사 |
필기 요약문제 | ▶ 2024 『SD에듀 EBS』 필기 ▶ 2024 『한솔아카데미』 필기 |
실기 기출문제 | ▶ 2024 『에듀윌』 실기 기출 |
실기 요약문제 | ▶ 2024 『SD에듀 EBS』 실기 |
전기기능사 취업 현실
1. 건설
전기기능사 자격증으로 내선전공으로서 건설 현장에 취업하게 되면 현실적으로 전기 포설 업무를 하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전기 포설 업무는 전기기능사 자격증이 없더라도 할 수 있는 단순한 반복 노동 업무이기 때문에 한국인 노동자보다는 오히려 외국인 노동자의 비율이 더 많은 현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면 회로를 배치할 때 더 효율적으로 회로를 짤 수 있어서 건물을 오랫동안 유지 보수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건설 관련 업종에서 취업한 후 현실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하거나 건설 현장의 관리직까지 생각하고 있다면 전기기능사 자격증이 꼭 필요하니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시설 관리
전기기능사로 시설 관리 업종에 취업하게 되면 주로 형광등이나 안정기 그리고 콘센트를 교체하는 업무와 전력회사로부터 22.9kv의 고압 전기를 공급받아 380이나 220으로 변성하여 전기가 필요한 세부 시설로 공급하는 수변전 설비를 검침하는 업무를 주로 하게 될 것입니다.
이와 같이 시설 관리의 업무가 쉬우면서 종류가 다양하여 시설 관리와 관련한 실무 경력을 다른 곳에서 인정받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전기기능사 자격증이 있다면 시설 관리 직종에서 정규직 사원으로 취업하시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며 시설 관리에서 10년 이상의 실무 경력과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면 전기 및 기계 용역 업체의 과장이나 시설팀장 자리에는 충분히 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설 관리와 관련하여 관리직 위치까지 가는 것이 목표이신 분들은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꼭 취득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시설 관리 업종에 취업한다면 기계와 전기가 분리되어 있는 회사에 취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시설 관리는 기계, 전기, 건축 그리고 방재 및 관제로 나뉘는데 기계와 전기를 합한 기전의 형태로 주로 채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기계의 업무는 더럽거나 몸이 힘든 업무를 주로 하며 전기의 업무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지원 업무의 성격을 갖고 있어서 시설 관리에서 기계와 전기를 함께하는 업무보다는 전기만 단독으로 하는 곳에 취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전기기능사 자격증만으로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의 고졸 채용이 아니라면 취업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왜냐하면 전기기사 자격증과 전기공사기사 자격증의 전기 쌍기사 자격증을 보유한 취업 준비생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고졸 채용이 아니라면 시설 관리 업종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에서는 취업하기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활용하여 취업할 계획이라면 개인적으로는 시설 관리보다는 실무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전기 공사 업체나 전력선 통신(PLC) 업체에 취업하여 경력을 쌓으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전기기능사 자격증에서 더 나아가 전기산업기사에 이어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를 취득하여 전기 쌍기사를 통해 원하는 회사에 취업하기를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2024년 전기기사 시험일정 및 합격률 확인하기(필기, 실기) – 2024년 정보처리기사 합격률, 시험일정, 자격요건 확인하기(필기, 실기) – 산업안전기사 자격요건 및 응시자격(현실, 필기 및 실기 기출문제 책 추천) – 컴활 1급 필기, 실기 알아보기(2개월 만에 합격한 후기) |
해당 글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