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자격증과 관련한 내용이 궁금하셨나요? 이 글에서는 자동차정비기능사 난이도를 알아본 후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및 실기 출제 내용을 pdf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정리하였으니 모두 자동차정비기능사 시험에 합격하시길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난이도
자동차정비기능사 합격률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필기 합격률 | 41.1% | 34.8% | 38% |
실기 합격률 | 68% | 70.9% | 71.4% |
21년부터 23년까지 최근 3년 동안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합격률은 38%이며 실기 합격률은 70%로 다른 기능사 시험과 비교하여 필기는 시험 난이도가 비슷하지만 실기는 난이도가 조금 쉬운 시험입니다.
2022년부터 필기시험에서 합격률이 떨어진 이유는 2022년부터 기존에 출제되었던 필기 기출문제가 다시 동일하게 출제되는 비율이 줄어들고 생소한 문제가 출제되면서 시험 난이도가 더욱 올라갔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존의 필기 기출문제를 등한시할 수 없기 때문에 필기 기출문제를 포함하여 모의고사도 함께 풀어서 어려운 필기시험을 잘 준비해야 할 것이며 필기시험에서 어떤 문제들이 출제되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내용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는 자동차 엔진, 섀시, 전기·전자 장치 정비 및 안전 관리와 관련되어 객관식 4지 선다의 60문제를 60분 안에 풀어서 60점 이상 받아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시험 치는 cbt 방식으로 문제가 출제되며 2022년부터 기존의 필기 기출문제와 유사하게 출제되는 문제의 비중이 줄어들고 신 유형의 새로운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어서 현실적으로 기존의 기출문제만으로 합격하기는 쉽지 않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필기 기출문제 및 필기 요약정리 pdf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필기 문제집을 통해 폭넓은 공부를 해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의 링크에서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필기 문제집 중 본인에게 맞는 필기 교재를 구매하여 공부해서 모두 어려운 난이도의 필기시험에 합격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에서는 출제되는 16가지 출제 항목으로는 충전장치 정비, 시동장치 정비, 편의 장치 정비, 등화장치 정비, 엔진 본체 정비, 윤활 장치 정비, 연료 장치 정비, 흡·배기 장치 정비, 클러치 수동변속기 정비, 드라이브 라인 정비, 휠·타이어·얼라인먼트 정비, 유압식 제동장치 정비, 엔진 점화장치 정비, 유압식 현가장치 정비, 조향장치 정비, 냉각 장치 정비가 있으며 16가지 출제 항목과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실기
자동차정비기능사 실기는 자동차 정비 실무와 관련한 12가지 출제 내용으로 구성된 작업형 문제가 4시간 안에 해결해야 하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받아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실기 준비물로는 자동차 정비용 일반 공구,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멀티테스터, 흑색 볼펜(연필 제외), 수정테이프(수정액 제외)가 필요합니다.
일반 공구는 드라이버(+,-), 오픈, 복스, 소켓, 토크 등 각종 렌치류, 니퍼, 조합, 롱 노즈, 스냅링 등 다양한 플라이어, 힌지 핸들, 스피드 핸들, 고무 해머, 볼핀 해머, 간극게이지, 스크레이퍼, 줄자 등이 필요하며 측정기와 자동차 정비에 필요한 수공구는 준비해 간다면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장비 및 지참 공구는 상용화된 정규 장비만 사용할 수 있으니 다양한 실기 준비물을 아래의 표를 통해 실기 준비물을 편하게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실기에서 출제되는 총 12가지 출제 항목은 ① 충전장치 정비, ② 시동장치 정비, ③ 편의 장치 정비, ④ 등화장치 정비, ⑤ 엔진 본체 정비, ⑥ 윤활 장치 정비, ⑦ 연료 장치 정비, ⑧ 흡·배기 장치 정비, ⑨ 클러치 수동변속기 정비, ⑩ 드라이브 라인 정비, ⑪ 휠·타이어·얼라인먼트 정비, ⑫ 유압식 제동장치 정비와 관련된 내용이 출제되며 해당 12가지 장치를 점검 및 진단하고 수리 및 교환한 후 제대로 고쳐졌는지 검사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자동차 정비기능사 실기는 12가지 출제 항목이 출제되기 때문에 실기 기출문제 등 다양한 실기 문제집을 통해 공부를 해야 짧은 기간 안에 합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기 합격률이 70%로 쉬운 편에 속하는 시험이긴 하지만 그래도 30%에 들지 않고 한 번에 합격하기 위해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에게 맞는 실기 문제집을 구매하여 공부하셔서 모두 합격하시기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또한 아래의 링크에서 자동차 정비기능사 실기시험에서 출제될 수 있는 15가지 공개 문제가 있는 자동차정비기능사 pdf 자료를 확인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15가지 실기 문제가 있는 자동차정비기능사 pdf 자료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엔진에서는 ① 디젤엔진에서 실린더 헤드와 분사노즐을 탈거하고 기록표의 내용대로 기록 및 판정한 후 다시 조립하는 것, ② 전자제어 가솔린 엔진에서 시동에 필요한 점화 회로의 고장 난 부분을 점검 및 수리하여 시동하는 것, ③ 엔진의 공회전 조절 장치를 탈거한 후 다시 조립하고 스캐너 또는 진단기를 사용하여 엔진의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를 점검한 후 고장 난 부분을 기록하는 내용이 출제될 수 있습니다.
섀시에서는 ① Shock Absorber라고 불리는 쇽업소버의 스프링을 탈거한 후 다시 조립하는 것, ② 휠 얼라이먼트 시험기를 사용하여 캐스터 및 캠버 각을 점검하고 나서 기록 및 판정하는 것, ③ ABS가 장착된 자동차에서 브레이크 패드를 탈거한 후 다시 조립하여 브레이크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하는 것, ④ 인히비터 스위치와 변속 선택 래버 위치를 점검한 후 기록 및 판정하는 것, ⑤ 자동차의 제동력을 측정하여 기록 및 판정하는 내용이 출제될 수 있습니다.
전기에서는 ① 윈드 실드 와이퍼 모터를 탈거한 후 다시 부착하여 정상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 ② 시동 모터의 크랭킹 부하시험을 실시하여 고장난 부분을 점검한 후 기록 및 판정하는 것, ③ 미등 및 번호등 회로의 고장난 부분을 점검한 후 기록 및 판정하는 것, ④ 전조등 광도를 측정한 후 기록 및 판정하는 내용이 출제될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실기 출제내용 알아보기 – 일반기계기사 실기(필답형, 작업형), 필기 공부법 – 소방설비기사 자격증 및 출제 내용(전기, 기계) –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실기 출제 내용 |
해당 글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으로 일정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