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조회를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셨나요? 이 글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이란 무엇이고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를 어떻게 조회할 수 있으며 어디에서 구매할 수 있는지 정리하였습니다. 추석을 맞이하여 9월에 온누리상품권 구매하셔서 최대 30만 원을 할인 받으시기 바랍니다.
1. 온누리상품권이란?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이나 주변 상권의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소상공인 진흥 공단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행하는 상품권입니다.
온누리상품권 종류는 ① 지류 상품권, ②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 ③ 모바일 상품권이 있습니다.
① 지류 상품권은 5천 원권, 1만 원권, 3만 원권의 3종류가 있으며 총 구매금액의 60% 이상 구매한 경우 남은 잔액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고 온누리상품권 현금영수증 발급 또한 가능합니다.
②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은 5천 원, 1만 원, 3만 원, 5만 원, 10만 원의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K패스나 기후동행카드 또는 티머니처럼 카드에 현금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③ 모바일 상품권은 5천 원, 1만 원, 3만 원, 5만 원, 10만 원의 5가지 종류가 있으며 비플페이나 온누리 페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3가지 종류의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 사용처에 대해 아래의 내용에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2.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조회
온누리상품권 사용처의 경우 지류 상품권은 125,601곳,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은 155,817곳, 모바일 상품권은 64,522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누리카드 사용처의 경우 전국에 15만 개가 넘는 가맹점이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가맹점을 조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조회하는 방법은 크게 ① 전통시장통통과 ② 비플페이가 있으며 그 외에도 ③ 온누리상품권 앱과 ④ 온누리 페이 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통시장통통과 비플페이에서 사용처를 어떻게 조회하는지 아래의 내용에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전통시장통통
전통시장통통은 소상공인 진흥 공단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전통시장에 대한 정보를 알려줍니다.
전통시장통통에서는 전통시장의 위치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통통에서는 온누리상품권 종류에 따라 사용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① 카드형 상품권과 ② 종이 상품권 그리고 ③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을 각각 조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조회한 결과로 시장 이름이나 가맹점 상호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가맹점 이름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라면 괜찮지만 이름을 모르는 경우에는 해당 가맹점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조회를 해야 해당 가맹점의 취급 품목이나 업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취급 품목이나 업종에 따라 조회할 수 없기 때문에 음식점이나 카페만 따로 조회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소에 가는 곳에서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지 간단하게 조회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방법입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전통시장통통에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을 조회하시기 바랍니다.
2) 비플페이
모바일 상품권과 같이 온누리상품권을 모바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앱은 비플페이와 온누리상품권 앱 그리고 온누리 페이의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구글플레이스토어 기준 비플페이는 100만 다운로드이며 온누리상품권 앱은 50만 다운로드이고 온누리 페이는 5만 다운로드이기 때문에 가장 인기가 많은 비플페이에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100만 다운로드를 달성한 비플페이 앱을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추석이나 설날과 같이 명절 당일에는 비플페이에서 동시 접속자 수가 급증하여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온누리상품권 앱을 설치하셔서 비플페이와 함께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의 버튼을 클릭하여 비플페이 앱을 설치하셨다면 앱을 실행한 후 로그인합니다.
[비플페이] – [온누리상품권] – [가맹점]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조회할 수 있습니다.
비플페이에서는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를 ㉠ 취급 품목 및 업종에 따라 조회할 수 있으며 ㉡ 지도에서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취급 품목 및 업종에 따라 조회하는 경우 학원 및 교육, 음식점 및 카페, 의료 및 보건, 농산물 및 청과, 수산물 및 횟집 등 다양한 카테고리 중 원하는 업종을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회한 결과는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확인하거나 인기가 많은 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지도에서 조회하는 경우 위의 업종에 따라 원하는 업종만 지도에서 확인할 수도 있으며 전체 가맹점의 위치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사용처를 조회하는 것이기 때문에 카드형 상품권이나 지류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지는 매장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매장에 전화하셔서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비플페이 앱을 다운로드하셔서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사용처를 조회하시기 바랍니다.
3. 온누리상품권 구매 방법
- 지류 상품권: 은행 16곳에서 구매 가능
-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 카드사 8곳에서 구매 가능
- 모바일 상품권: 비플페이, 온누리페이에서 구매 가능
온누리상품권 구매 방법은 은행과 카드사 그리고 비플페이와 온누리 페이에서 가능한데 온누리상품권 종류에 따라 구매 방법이 달라집니다.
종이로 된 지류 온누리 상품권은 총 16곳의 은행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① 지류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는 은행으로는 우체국, 농협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기업은행, 하나은행, 새마을금고, 수협은행, 수협, 신협, 부산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이 있습니다.
다만, 농협은행의 경우 농협중앙회의 농협은행에서만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지역 농협 은행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할 수 없으니 농협 이름 앞에 “지역”이라는 글자가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충전해서 사용하는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 구매는 총 8곳의 카드사에서 가능합니다.
②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는 카드사는 현대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국민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비씨카드, 농협카드가 있습니다.
③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은 비플페이와 온누리 페이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비플페이와 온누리 페이 앱을 다운로드하여 로그인을 한 후 5천 원, 1만 원, 3만 원, 5만 원, 10만 원 중에 선택하여 온누리 상품권 모바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온누리상품권 구매 한도의 경우 ① 지류 상품권은 1인당 150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지만 ②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과 ③ 모바일 상품권은 1인당 200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으니 구매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온누리상품권 유효기간은 발행일로부터 5년입니다.
따라서 온누리상품권 유효기간이 구매일로부터 5년이 아니라 발행일로부터 5년이기 때문에 종이로 된 지류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하신다면 꼭 발행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온누리상품권 할인
- 2024년 9월 2일 월요일 ~ 9월 30일 월요일: (기존) 최대 10% 할인율 -> (변경) 최대 15% 할인율
기존에는 온누리상품권 구매 시 온누리상품권 할인을 최대 10%까지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추석을 맞이하여 비플페이와 온누리 페이에서 2024년 9월 2일 월요일부터 9월 30일 월요일까지 온누리상품권 할인을 최대 15%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의 경우 종이로 된 지류 온누리 상품권은 최대 7만 5천 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지만 현금 구매 시 구매자 본인 신분증을 제시해야 하며 대리구매가 안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과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의 경우 비플페이와 온누리 페이에서 9월에 구매하는 경우 최대 30만 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되도록 9월 할인 기간 안에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이나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하셔서 최대한 많이 할인 받으시기 바랍니다.
다만, 위의 할인 기간을 놓쳤다 하더라도 너무 아쉬워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기존에도 지류 온누리 상품권의 경우 5%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과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의 경우 10%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통시장에서 결제하는 경우 최대 40%까지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온누리상품권의 많은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