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릉이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사용법은 무엇이며 가격은 얼마이고 앱을 어떻게 사용하며 혹여나 보험이 필요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하셨나요?
이 글을 통해서 따릉이를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 지금 바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1. 따릉이란?
따릉이는 서울 자전거라고 불리는 만 13세 이상이면 누구든지 이용이 가능한 공공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는 친환경 교통수단입니다.
단, 만 13세 이상 19세 미만의 미성년자인 이용자는 부모님이나 법정대리인의 동의가 있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회사의 공유 자전거가 많지만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반납하는 곳이 일정하지 않아 길거리에 무분별하게 반납하여 보행에 불편을 끼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국가가 관리하는 공유 자전거나 킥보드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서울 자전거라고 불리는 따릉이가 나와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어 환경도 지키고 정부가 주기적으로 관리 해줘서 좋은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다양한 공유 자전거 중에서도 가격이 굉장히 저렴한 따릉이의 이용 가격은 얼마인지 아래의 내용을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2. 가격
이용권은 이용할 수 있는 기간에 따라 일일권과 정기권으로 나뉘며 반납주기에 따라 1시간 권과 2시간 권으로 나뉩니다.
해당 기간 동안 1시간이나 2시간의 반납 주기에 따라 정해진 반납 시간 안에 정상적으로 반납을 했다면 대여 횟수에 상관없이 이용권의 이용 기간 동안 무제한으로 다시 대여하여 이용이 가능하니 정해진 반납 시간 안에 반납을 잘 하셔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최대한 많이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이용권의 유효기간은 결제일로부터 3년이며 이용권의 시간 계산은 이용권을 구매한 시점이 아니고 자전거를 대여소에서 실제로 처음 대여한 시점부터 시간 계산을 시작하니 구매했다고 빨리 이용하겠다고 생각하시기보다는 천천히 안전 수칙을 잘 확인하시고 이용하실 준비가 충분히 다 되었다면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반납 주기에 따른 일일권과 정기권의 가격은 얼마인지 아래의 내용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일일권
일일권은 반납 주기에 따라 1시간 권과 2시간 권으로 나뉩니다.
1시간 권은 1,000원이며 2시간 권은 2,000원입니다.
회원과 비회원이 가격이 동일하므로 가끔만 이용하신다면 일일권도 괜찮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단, 비회원은 정기권 구매가 안되며 일일권만 구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 자주 이용할 예정이라면 회원가입한 후 정기권을 구매하셔서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납 주기에 따라 일일권의 가격이 두 배나 차이 나며 추가 요금 또한 반납 시간에서 초과한 5분당 200원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는 1시간 권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반납 주기와 상관없이 하루 동안 여유롭게 맘 편하게 타고 싶으신 분이라면 2시간 권을 추천드립니다.
그렇다면 출퇴근과 같이 정기적으로 오랫동안 따릉이를 이용하실 분들이 선택하면 좋을 정기권의 가격은 얼마인지 아래의 내용을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2) 정기권
정기권은 이용 기간에 따라 7일, 30일, 180일, 365일 권으로 4가지 종류가 있으며 반납 주기에 따라 1시간 권과 2시간 권으로 나뉩니다.
7일 권 | 30일 권 | 180일 권 | 365일 권 | |
---|---|---|---|---|
1시간 권 | 3,000원 | 5,000원 | 15,000원 | 30,000원 |
2시간 권 | 4,000원 | 7,000원 | 20,000원 | 40,000원 |
출퇴근때문에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30일 1시간 권의 5,000원이나 180일 1시간 권의 15,000원 이용권을 추천드립니다.
따릉이의 평균 이용 시간은 28분이며 평균 이동거리는 3km입니다. 따라서 따릉이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30분 내외의 짧은 거리를 자전거로 이용하시기 때문에 출퇴근 시 자전거 이용 시간이 30분 내외이신 분들에게는 30일 1시간 권이나 180일 1시간 권을 추천드립니다.
따릉이 대여소(반납 장소)는 현재 있는 곳 주변에 있는 대여소 위치를 따릉이 앱을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실제로 대여서 위치가 도심 주변에 굉장히 많이 있기 때문에 평소에 출퇴근과 같이 간단히 이용하실 분들이라면 1시간 권이라도 충분히 이용하시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가격 자체는 365일 권이 하루 기준으로 보면 가장 저렴하긴 하지만 여름이나 겨울 그리고 비 오는 날도 있으니 365일 매일 이용하기는 사실상 많이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여행을 갔을 때나 병원에 있을 때나 명절이거나 상관없이 이용권의 이용 시간은 지나가고 있으니 자신의 생활에 맞는 이용권을 구매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추가 요금은 얼마를 내야 하는지 아래의 내용에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3) 추가 요금
추가 요금은 5분마다 200원씩 부과됩니다.
이용권은 반납 주기에 따라 1시간 권과 2시간 권으로 나뉩니다. 해당 반납 주기마다 대여소에 반납을 해야 추가 요금을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급한 일이 생겨서 1시간마다 혹은 2시간마다 반납을 못 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정해진 반납 시간을 초과한 5분마다 200원씩 추가 요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대여 후 4시간 동안 반납하지 않았다면 이를 도난 자전거로 간주하여 경찰서에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으니 반드시 4시간 이내에 반납하시길 바라며 4시간 이내에 반납하기 힘든 상황이라면 일반 상담의 경우 24시간 전화상담이 가능하니 따릉이 고객센터(1599-0120)에 전화하셔서 상담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따릉이의 이용권 가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이용권을 구매하셔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따릉이를 이용하는지 사용법에 대해 아래의 내용을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3. 사용법
따릉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5가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① 앱을 다운로드하여 ② 이용권을 구매하고 ③ 대여하며 잠시 다른 업무를 볼 때는 ④ 임시 잠금하고 ⑤ 반납 시간 안에 반납하는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5가지 절차에 따른 사용법을 아래의 내용을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앱 다운로드
“서울자전거 따릉이”라는 앱을 설치하셔야 현재 자전거 위치나 대여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대여나 반납 시 쉽고 편하게 이용이 가능하니 꼭 서울특별시에서 운영하는 서울 자전거 공식 앱을 다운로드하시길 바랍니다.
따릉이 어플은 대체로 핸드폰으로 이용하시기 때문에 다음 링크를 통해 갤럭시 이용자라면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 하시고 아이폰 이용자라면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하시길 바랍니다.
위의 링크에서 다운로드를 하셨다면, “위치 서비스 사용”으로 바꾸셔서 위치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지금 있는 곳 주변의 자전거나 대여소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과 같이 편하게 사용을 하실 수 있으니 반드시 “위치 서비스를 사용”으로 바꾸시길 바랍니다.
앱을 다운로드한 후 위치 서비스를 사용으로 바꾸고 회원가입까지 다 하셔서 로그인하셨다면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앱에서 어떻게 이용권을 구매할 수 있는지 아래의 내용을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2) 이용권 구매
[메뉴]에서 [이용권 구매]를 선택한 다음 등록 결제수단에 등록하여 결제를 하거나 제로 페이나 페이코 혹은 카카오페이 등과 같이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자신에 상황에 맞게 원하는 이용권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이용권을 구매한 시점부터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자전거를 대여소에서 실제로 처음 대여한 시점부터 시간을 계산하기 때문에 이용권을 구매했다고 급하게 자전거를 대여하시기보다는 주변의 자전거 위치를 파악하신 후 충분히 사전 준비를 마치시고 자전거를 탈 준비가 다 되었다면 자전거를 대여하시길 바랍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자전거를 대여하는지 아래의 내용에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3) 대여
따릉이를 대여하기 전 블루투스 및 GPS(위치정보)가 켜져 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이는 우측 상단에 있는 환경설정에서 [내 기기 상태]를 클릭하여 블루투스와 GPS가 “켜짐”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다음 주변의 자전거의 위치를 파악한 후 원하는 자전거 앞에 도착하셨다면 지도와 즐겨찾기 버튼 사이에 있는 “대여하기”라는 버튼을 클릭하셔서 QR코드를 촬영하거나 자전거 번호를 입력하신 후 조금의 시간이 지나면 대여가 완료되며 남은 대여 시간과 언제까지 반납해야 하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여소 위치가 궁금하신 분들은 따릉이 홈페이지의 사이트를 통해서 대여소 위치를 확인하실 수 있으니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셔서 대여소 위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전거를 타다 보면 잠시 자전거를 세워두고 다른 일을 봐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임시 잠금 기능인데 어떻게 하면 임시 잠금을 할 수 있는지 아래의 내용에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4) 임시 잠금
임시 잠금 하는 방법은 뒷바퀴에 있는 잠금 래버를 아래로 내려서 잠금을 할 수 있습니다. 뒷바퀴에 있는 잠금 래버를 내린다면 자전거에서 “임시 잠금 처리가 되었습니다.”라는 안내 멘트와 함께 임시 잠금이 성공적으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시 잠금을 해제할 때는 앱에 접속한 후 남은 시간이 나오는 화면에서 “임시 잠금 해제”라는 버튼을 클릭하면 뒷바퀴에 있는 레버가 다시 올라가고 임시 잠금이 해제되었다는 안내 멘트를 통해 잠금 해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임시 잠금을 할 수 있는 장소는 자전거의 종류에 따라 나뉘게 되며 따릉이 자전거의 종류는 구형인 LCD 자전거와 신형인 QR 자전거로 나뉘게 됩니다.
아래에서 LCD 자전거와 QR 자전거의 차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지만 간단히 얘기하면 LCD 자전거는 지정된 대여소에서만 임시 잠금이 가능하지만 QR 자전거는 대여소뿐만 아니라 원하는 곳은 어디서든지 임시 잠금 할 수 있습니다.
임시 잠금뿐만 아니라 반납에 있어서도 QR 자전거가 편리하므로 되도록이면 QR 자전거를 대여하시길 바랍니다.
그렇다면 LCD 자전거와 QR 자전거는 어떤 차이점이 있으며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는지 아래의 내용을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5) LCD 자전거 vs QR 자전거 비교
LCD 자전거와 QR 자전거를 외관상 구별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자전거 안장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LCD 자전거는 구형이기 때문에 자전거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다른 일반 자전거처럼 은색의 빡빡한 안장 레버를 풀어서 원하는 안장 높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안장 레버를 빡빡하게 조이는 방식으로 안장 높이를 조절하지만, QR 자전거는 신형으로 자전거 안장 밑에 있는 브레이크처럼 생긴 검정색 레버를 잡아당긴 채 손쉽게 안장의 높이를 조절한 후 레버를 놓으면 됩니다.
앞에서 살펴봤듯이 LCD 자전거는 임시 잠금을 하고 싶으면 정해진 대여소에 반드시 가야지만 임시 잠금이 가능하지만, QR 자전거는 원하는 어디서든지 임시 잠금이 가능합니다.
또한 QR 자전거의 뒷바퀴에는 QR 코드가 있어서 어플을 통해 손쉽게 대여할 수 있으며 반납 또한 대여소에서 뒷바퀴 잠금 레버를 내기만 하면 손쉽게 반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 문단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지만 QR 자전거는 앱에 표시된 대여소라면 어디든 반납이 가능하지만, LCD 자전거는 대여소에 있는 반납 연결선에 자전거를 걸어둬야 하기 때문에 초록색 표시의 대여소에서만 반납이 가능합니다.
위의 내용을 표로 정리하여 LCD 자전거와 QR 자전거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아래의 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LCD 자전거 (구형) | QR 자전거 (신형) | |
---|---|---|
자전거 안장 | 은색의 뻑뻑한 잠금장치 | 검정색의 부드러운 레버 |
임시 잠금 위치 | 지정된 대여소 | 어디서든 가능 |
반납 위치 | 초록색만 가능 | 노란색, 초록색 모두 가능 |
이와 같이 가격이 동일하지만 구형인 LCD 자전거에 비해 신형인 QR 자전거의 장점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가능한 한 QR 자전거를 대여하셔서 쉽고 편하게 자전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자전거를 반납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반납할 수 있는지 아래의 내용에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6) 반납
반납 자체는 간단하지만 LCD 자전거와 QR 자전거의 반납할 수 있는 대여소가 다르므로 자전거의 종류에 따른 반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CD 자전거는 초록색으로 표시된 대여소에서만 반납이 가능하며 반납할 때도 거치대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자전거에 연결하면 카카오톡으로 반납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받게 되고 그러면 반납이 완료됩니다.
QR 자전거는 노란색과 초록색 중 어느 대여소라도 반납이 가능하며 빈 거치대 위에 자전거를 거치한 다음 자전거 뒷바퀴에 있는 잠금 레버를 내려서 잠그면 카카오톡으로 반납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받게 되고 그러면 반납이 완료됩니다.
지금까지 LCD 자전거와 QR 자전거에 따른 반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미리 말씀드리지만 사고와 같은 그런 일은 누구에게도 발생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들의 안전한 운행을 진심으로 바랍니다.
간혹가다 따릉이를 이용하다보면 이용자 본인이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고 반대로 타인을 다치게 하거나 사망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 보험에 대해서 한 번쯤을 알아두면 좋으니 아래의 내용을 통해 자전거 보험에 대해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4. 보험
따릉이를 이용하다가 사고가 나서 보험이 필요한 경우 이용할 수 있는 보험은 ① 개인 보험, ② 자치구 자전거 단체보험, ③ 공공자전거 종합보험의 3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해당 3가지 보험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아래의 내용에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개인 보험
가장 쉽게 이용하는 방법은 개인이 개인적을 가입한 ① 실비(실손의료보험)나 ② 종합보험 중 자전거 특약 그리고 ③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을 청구하는 것입니다.
우선 ① 실비를 통해 본인이 다친 의료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② 종합보험 중 특약으로 자전거 보장이 있다면 정액 보험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이나 타인의 재산에 상해를 입힌 경우라면 ③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을 통해 보험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보험의 경우 개인마다 가입한 보험사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가입한 보험사에 직접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의 3가지 보험 중 해당하는 보험이 없어서 힘드신 분이라면 걱정하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직 두 개나 더 남았으며 남은 두 개의 보험은 중복으로 보상받으실 수 있으니 남은 두 개의 보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2) 자치구 자전거 단체보험
서울시의 25개 구 중에서 자전거 단체보험에 가입한 18개 구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구민이면 누구나 별도의 가입 없이 최대 1,000만 원의 보험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현재 자치구 자전거 단체보험에 가입한 18개 구는 강남에서는 강서구, 양천구, 동작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가 있고 강북에서는 은평구, 서대문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가 있습니다.
구체적인 보장 내용은 각 자치구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아래의 표를 참고하셔서 해당 거주지의 구청 교통과(담당 부서)에 자전거보험과 관련하여 상담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강남” 담당 부서 | “강남” 담당 부서 연락처 |
---|---|
강서구 교통행정과 | 2600-4111 |
양천구 교통행정과 | 2620-3701 |
동작구 교통행정과 | 820-1642 |
강남구 교통행정과 | 3423-6377 |
송파구 교통과 | 2147-3146 |
강동구 교통행정과 | 3425-6262 |
“강북” 담당 부서 | “강북” 담당 부서 연락처 |
---|---|
은평구 교통행정과 | 351-7775 |
서대문구 교통행정과 | 330-1906 |
중구 생활안전담당관 | 3396-4485 |
용산구 교통행정과 | 2199-7754 |
성동구 교통행정과 | 2286-5683 |
광진구 교통행정과 | 450-7924 |
동대문구 교통행정과 | 2127-4888 |
중랑구 교통행정과 | 2094-2582 |
성북구 교통행정과 | 2241-3413 |
강북구 교통행정과 | 901-5925 |
도봉구 교통행정과 | 2091-4163 |
노원구 교통지도과 | 2116-0632 |
또한, 자치구 자전거 단체보험은 아래에서 살펴볼 공공자전거 종합보험과 중복 보상이 가능하니 공공자전거 종합보험도 아래의 내용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3) 공공자전거 종합보험
공공자전거 종합보험은 만 13세 이상의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만 13세 미만의 미성년자가 따릉이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했다면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없으며 만 13세~14세의 이용자는 상법 제732조에 따라 사망 보험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릉이의 결함이나 관리상 하자로 인해 발생한 사고를 제외한 대부분 발생한 사고는 DB손해보험(02-1899-7751)에서 접수가 가능합니다. 해당 전화번호로 토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09시부터 18시까지 전화하셔서 기본적인 안내를 받으신 후 보험금 청구 양식에 따라 접수하시면 접수 완료 후 일주일 안에 담당자의 개별 통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만일, 따릉이의 결함이나 관리상 하자로 인해 발생한 사고 서울시설공단(02-1599-0120)에서 접수가 가능합니다. 해당 고객센터 운영시간은 24시간 연중무휴이니 관련 사고 발생 즉시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하셔서 상담을 받으신 후 접수하시면 한국지방재정공제회의 위임을 받은 손해보험사에 접수 후 개별적으로 배상금 지급 통지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보험사 관련 안내와 관련하여 추가 문의가 있으시면 따릉이 고객센터인 (1599-0120)에 전화하셔서 추가 상담을 받으시면 됩니다. 해당 고객센터의 운영은 사고 접수의 경우는 07시부터 22시까지이며 일반 상담은 24시간 운영되니 해당 시간에 전화하시면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공공자전거 종합보험과 관련하여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이라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시면 따릉이 홈페이지 보험안내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니 해당 링크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실제로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제일 좋지만 만에 하나 발생한다면 정말 중요한 내용인 자전거 보험에 대해서 개인보험과 자치구 자전거 단체보험 그리고 공공자전거 종합보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혹시나 필요하신 분들이 있을 수도 있으니 자전거 보험에 대해서 적었지만 부디 안전하게 자전거 운행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6.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따릉이 서울 자전거에 대해 가격과 사용법 그리고 앱과 보험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다양한 공유 자전거가 있지만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공공자전거이기 때문에 다른 공유 자전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지속적으로 사용성이 더 편하게 개선되며 보험까지 국가가 직접 나서서 관리하기 때문에 환경까지 생각하는 정말 좋은 제도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통해서 따릉이를 처음 사용하거나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따릉이 앱을 다운로드하셔서 안전운행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k패스 vs 기후동행카드 비교(월 최대 12,720원 이득) – 기후동행카드 구매 및 신청방법(월 62,000원으로 서울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 k패스 신청으로 최대 53% 마일리지 환급 받아가세요! |
참고: 서울특별시, 따릉이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