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일자리 종류 및 신청 방법 (60세 ~ 65세 이상)

노인 일자리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떻게 신청하는지 궁금하셨나요? 노인 일자리 종류를 65세 이상 노인 일자리와 60세 이상 일자리로 나누어 살펴본 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할 수 있는 노인 일자리 신청 방법을 정리하였으니 아래의 내용에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노인 일자리 종류

1) 65세 이상 노인 일자리

(1) 노인 공익활동 사업(舊 공익활동형)

  • 조건: 기초연금수급자
  • 내용: 공공시설 봉사, 노노케어, 취약계층지원 등
  • 기간: 10~12개월
  • 시간: 하루 3시간 이내
  • 급여: 월 29만 원(월 30시간 이상 활동 시)

노인 일자리 종류 중 첫 번째 65세 이상 노인 일자리는 기존에 공익활동형으로 불렸던 노인 공익활동 사업입니다.

다만, 노인 공익활동 사업은 65세 이상 어르신 중 기초연금을 받고 계신 분만 신청 가능합니다.

만약 노인 공익활동 사업 대기자 중에 65세 이상이면서 기초연금 수급자가 없는 경우에는 60세 이상 차상위 계층도 참가할 수 있습니다.

노인 공익활동 사업의 주된 활동은 공공시설 봉사활동으로 ① 도로에 버려져 있는 쓰레기를 줍는 활동과 ② 동네를 돌아다니며 순찰하는 동네 안전지킴이 활동 그리고 ③ 학교 근처에 있는 횡단보도에서 교통을 통제하는 활동 등이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노인이 노인을 돌봐주어 노노케어라고 불리는 봉사활동이나 장애인 및 청소년과 같이 사회로에서 소외되기 쉬운 주변 이웃을 도와주는 봉사활동 등이 있습니다.

노인 공익활동 사업 기간은 10개월에서 12개월 정도입니다.

노인 공익활동 시간은 한 번 활동할 때 3시간 이내로 활동하며 한 달에 10번 이상 활동하기 때문에 한 달에 30시간 이상 활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노인 공익활동을 한 달에 30시간 이상 수행하면 한 달에 29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노인 공익활동 사업은 다른 노인 일자리 종류 중에서도 난이도가 쉬운 편이라 인기가 많습니다.

더 늦기 전에 지금 바로 아래의 링크를 통해 노인 공익활동 사업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2) 노인 역량 활용사업(舊 사회서비스형)

  • 내용: 가정 및 세대 간 서비스, 취약계층 서비스, 공공 서비스
  • 기간: 10개월
  • 시간: 월 60시간
  • 급여: 월 634,000원(주휴 및 연차 수당 별도)

기존에 사회서비스형이라 불렸던 노인 역량 활용사업은 65세 이상 어르신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노인 역량 활용사업은 크게 가정과 세대 간 서비스, 취약계층 서비스, 공공 서비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정과 세대 간 서비스는 보육 시설이나 청소년 교육 시설 등에서 근무하는 것입니다.

취약계층 서비스는 장애인이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활동으로 이동이 불편하신 분들의 거동을 도와드리거나 간단한 업무를 옆에서 도와드리는 등 다양한 보조 업무를 하게 됩니다.

공공 서비스는 어르신의 취업 상담을 도와드리거나 다양한 공공시설에서 업무 지원을 하게 됩니다.

노인 역량 활용사업은 총 10개월 동안 근무하게 되며 한 달에 약 60시간을 근무하게 됩니다.

물론 노인 역량 활용사업 급여는 물론 근로 계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 한 달에 634,000원을 받게 되는데 이는 주휴수당이나 연차 수당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따라서 노인 역량 활용사업을 10개월 동안 하게 된다면 주휴수당과 연차 수당을 포함하여 총 8,064,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60세 이상 일자리

(1) 공동체 사업단(舊 시장형 사업단)

  • 내용: 매장 근무, 택배 등
  • 우대 조건: 신규 참여자, 장애인, 활동 역량 및 세대 구성 등

기존에 시장형 사업단이라 불렸던 공동체 사업단은 60세 이상 어르신이 할 수 있는 일자리입니다.

공동체 사업단에서는 카페나 편의점과 같이 작은 매장에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아파트에 택배를 배달하거나 지하철에 다양한 물건을 전달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공동체 사업단에 선정되기 위해서는 신청 우대 조건을 최대한 많이 충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동체 사업단 우대 조건은 공동체 사업단에 처음 신청한 경우이거나 신청자 본인이 장애 등급을 갖고 있는 경우입니다.

또한 적극적으로 일을 할 수 있으며 상대방과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택배 배달 등 다양한 신체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노인 일자리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1) 노인일자리여기

온라인으로 할 수 있는 첫 번째 노인 일자리 신청 방법으로 노인일자리여기가 있습니다.

노인 일자리 여기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함께 운영하는 공식 노인 일자리 홈페이지로 노인 일자리는 물론 워크넷 일자리까지 모두 조회할 수 있습니다.

노인 일자리를 신청하기 위해 우선 노인 일자리 여기에 접속한 후 원하는 지역을 검색하면 해당 지역에서 현재 남아 있는 노인 일자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노인일자리 여기에서는 노인 일자리 신청 자격 조건과 신청 제외 기준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현재 남아 있는 노인 일자리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복지로

복지로에서도 온라인으로 노인 일자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에서 노인 일자리를 신청하기 위해선 복지로 사이트에 접속한 후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복지로에서는 공동 인증서나 금융 인증서는 물론 네이버나 카카오와 같은 간편 인증서를 통해서도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에서 로그인을 했다면 상단에 있는 서비스 신청에 있는 민원 서비스 신청을 클릭한 후 노인 일자리를 클릭하여 노인 일자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노인 일자리를 검색한 후 복지 서비스에 있는 노인 일자리를 클릭하여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복지로 사이트에 접속하여 노인 일자리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2) 오프라인 신청

(1) 행정복지센터(舊 주민센터, 동사무소)

기존에 동사무소나 주민센터로 불렸던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노인 일자리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노인 일자리 신청은 서류를 발급하는 것이 아니며 복지 상담을 받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번호표를 뽑고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자마자 “노인 일자리 신청하러 왔는데요~”라고 말씀하면 민원 창구 뒤에서 근무하는 행정팀의 노인 일자리 담당자가 나와서 친절하게 노인 일자리 신청을 도와드릴 것입니다.

만약 가까운 주민센터가 어디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가까운 주민센터 위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

노인복지관이나 시니어 클럽과 같이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에 방문해 노인 일자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만약 평소에 자주 가던 노인 복지관이 있다면 그 복지관에 방문하여 노인 일자리를 신청하면 됩니다.

다만,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이 주변에 어디 있는지 모르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에서는 가까운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의 이름과 전화번호 그리고 위치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가까운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