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 한도 및 혜택 6가지

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에 대해 궁금하셨나요? 노란우산공제란 무엇이며 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 한도는 얼마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그 계산은 어떻게 하고 그 이외에도 어떤 노란우산공제 혜택이 있는지 정리하였습니다. 아래의 내용에서 다양한 노란우산 혜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노란우산공제란?

노란우산공제란 소기업이나 소상공인 분들이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미리 목돈을 안전하게 마련하는 제도입니다.

노란우산공제는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115조에 따라 실시되는 사업으로 소기업과 소상공인 공제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혹시 노란우산공제에 왜 가입해야 하는지 궁금하셨나요?”

노란우산 가입은 필수는 아니지만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미리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란우산공제에 왜 가입해야 하는지를 자동차 책임보험과 운전자 보험에 빗대어 설명드리겠습니다.

자동차를 구매했다면 자동차 책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며 만약 자동차 책임보험 가입 안하면 과태료나 범칙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

이와 반대로 운전자 보험은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가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운전하다 보면 어떤 일이 발생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운전자 본인을 위해 운전자 보험도 함께 가입하게 됩니다.

이처럼 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이라 해서 반드시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장기간 이어진 경기 침체 등의 이유로 폐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부채로 인해 압류 등이 발생하면 미리 모아둔 목돈도 모두 빼앗기게 되어 다시 재기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란우산공제 가입 금액은 압류나 담보 등이 법적으로 막혀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목돈을 지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노란우산공제 가입방법 5가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2. 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

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는 사업소득 또는 근로소득의 소득 금액에 따라 최대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 한도가 정해지게 됩니다.

소득 금액이 4천만 원 이하인 경우라면 노란우산공제 한도는 500만 원입니다.

이 경우 예상 세율은 6.6%에서 16.%까지일 때 33만 원부터 82만 5천 원까지 세금을 줄이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소득 금액이 4천만 원 초과 1억 원 이하인 경우 노란우산공제 한도는 300만 원이며 예상 세율은 16.5%에서 38.5%일 때 49만 5천 원부터 115만 5천 원까지 세금을 절약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 해당한다면 월 5만 원의 노란우산공제 가입 금액으로 최대 115만 5천 원의 세금을 절약하는 것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소득 구간에 해당하는 법인의 경우 직원들의 총 급여가 7천만 원을 초과한다면 다양한 소득 금액 중 근로소득에서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2016년 1월 1일 이후에 노란우산공제 가입한 법인 대표자는 총 급여액 기준 7천만 원 또는 근로소득 금액 기준 5,675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근로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만약 법인 대표자가 노란우산공제에 2015년 12월 31일 이전에 가입했다면 노란우산공제 한도는 종합소득이 됩니다.

따라서 법인인 경우 노란우산공제에 언제 가입했는지 가입 날짜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소득 금액이 1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엔 노란우산 한도가 200만 원으로 예상 세율은 38.5%에서 49.5%일 때 77만 원에서 99만 원의 세금을 아낄 수 있다고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소득 금액 구간 별 소득공제 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는 소득 금액에 따라 200만 원부터 500만 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지만 모든 소득 금액에 대해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다양한 소득 금액 중 부동산 임대업 소득은 소득공제에서 제외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 계산 방법은 노란우산 소득공제 한도 * 전체 사업소득 금액 중 부동산 임대 소득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에서 발생한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예시로 1,000만 원의 사업소득 금액 중 부동산 임대업으로 인한 소득인 1,000만 원(100%)인 경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업 소득이 1,000만 원으로 이는 4천만 원 이하이기 때문에 소득공제 한도가 500만 원이지만, 전체 사업소득 금액 중 부동산 임대업 소득이 100%이기 때문에 소득공제 금액은 0원입니다.

두 번째 예시로 1,000만 원의 사업 소득 금액 중 부동산 임대업으로 인한 소득은 300만 원(30%)이며 다른 업종에서 발생한 소득이 700만 원(70%)인 경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업 소득이 1,000만 원으로 이는 4천만 원 이하이기 때문에 소득공제 한도가 500만 원이지만, 전체 사업소득 금액 중 부동산 임대업으로 인한 소득이 30%이며 다른 업종으로 인한 소득이 70%입니다.

따라서 두 번째 예시에서의 소득공제 금액은 500만 원 * 70% = 350만 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를 최대한 많이 받기 위해서는 부동산 임대업으로 인한 소득이 아닌 다른 업종에서 발생한 소득의 비중을 늘리기 바랍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노란우산 소득공제와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3. 노란우산공제 혜택

  1. 소득공제: 연 최대 500만 원
  2. 목돈 마련: 일시금 or 분할금
  3. 압류 금지: 압류, 양도, 담보제공 금지
  4. 대출 가능: 대출 이자 3.9%
  5. 상해보험: 무료 가입 가능
  6. 복리 이자: 장기 가입시 유리

노란우산공제 혜택은 소득공제, 목돈 마련, 압류 금지, 대출, 상해보험, 복리 이자의 6가지 혜택이 있습니다.

노란우산공제 가입 금액은 월 5만 원부터 월 100만 원까지 매달 또는 분기별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쌓인 금액은 폐업과 같이 노란우산공제 해지 조건을 충족했을 때 일시불로 받거나 분할로 나눠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쌓인 금액은 압류나 양도 또는 담보로 제공하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어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다양한 노란우산 혜택 중 압류 금지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압류방지 계좌인 행복지킴이 통장을 만들면 됩니다.

그리고 만약 노란우산공제 연체가 없다면 일정 금액 범위 내에서 3.9%의 대출이자 및 1년의 대출 기간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며 1년의 대출 기간은 연장도 가능합니다.

또한 다쳐서 사망하거나 후유장애 등이 발생하는 경우 2년 동안 가장 많이 넣은 월 납부금액의 최대 150배까지 보험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란우산공제 혜택으로 최대 1억 5천만 원의 상해 보험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위의 상해보험은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보험료를 지불하기 때문에 노란우산공제 가입자라면 누구나 무료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노란우산공제 가입 금액은 복리 이자를 적용하기 때문에 가입 기간이 길수록 더 많은 목돈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3.3%의 이자율로 계산해 본다면 30년 동안 월 100만 원을 납부한 경우 단리 이자와 비교하여 최대 7,144만 원의 금액을 추가로 모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 가입 금액인 100만 원씩 최대한 오랫동안 납부하여 많은 양의 목돈을 저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금 바로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노란우산공제 혜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