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 계산(계산기, 계산 방법, 산정 기준표)

건강보험료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궁금하셨나요? 이 글에서는 건강보험료 계산과 관련하여 건강보험료 계산기와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그리고 소득에 따른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까지 쉽고 자세히 정리하였으니 간편하게 건강보험료를 계산하시기 바랍니다.

지금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글 요약
– 납부: 9가지 납부 방법
– 납부확인서: 6가지 납부확인서 발급 방법
– 계산기: ① 4대 사회보험료 계산기, ② 지역가입자 계산기, ③ 직장가입자 계산기
– 산정 기준표: 2024년 기준 1인 가구 ~ 4인 가구의 소득에 따른 산정 기준표
– 계산 방법: ① 지역가입자, ② 직장가입자 보수월액 건강보험료, ② 직장가입자 소득월액 건강보험료

건강보험료 납부

건강보험료 납부와 관련하여 9가지 종류의 건강보험료 납부 방법6가지 종류의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건강보험료 납부 방법 확인하기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방법 확인하기

건강보험료 계산기

건강보험료 계산기 – 4대 사회보험료

2024년 기준 직장가입자 보수월액에 따른 건강보험료뿐만 아니라 국민연금과 고용보험 그리고 산재보험과 같이 4대 사회보험료를 계산할 수 있는 간단한 버전의 건강보험료 계산기입니다.

해당 계산기는 모의 계산이기 때문에 실제와 다를 수 있으며 월급과 같은 보수 외 소득이 연 2,000만 원을 초과한다면 실제 보험료와 다를 수 있으니 조금 더 정확한 계산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지역가입자 계산기직장가입자 계산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기준 직장가입자 보수월액에 따른 건강보험료뿐만 아니라 4대 사회보험료 계산기를 통해 아래의 링크에서 건강보험료를 간단하게 계산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 건강보험료 계산기 바로가기

건강보험료 계산기 – 지역가입자

2024년 기준 지역가입자의 지역보험료 계산기로 해당 계산기를 통해 산출된 결과는 단순한 예상 보험료이기 때문에 실제 보험료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인적 사항의 경우 본인의 내용만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세대주와 세대원 모두 입력해야 합니다.

자동차의 경우 차량 가액이 4,000만 원 이상인 승용차를 입력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장애인 소유 차량이나 화물차특수차승합차는 건강보험료가 면제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사용연수 9년 이상의 차량차량 가액 4,000만 원 미만의 승용차는 보험료가 면제됩니다.

재산의 경우 재산의 과세표준액을 입력해야 합니다. 과세표준액이 아니라 공시가격이나 시가 등을 입력하면 계산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지역가입자 건강보험 계산기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기 바로가기

건강보험료 계산기 – 직장가입자

2024년 기준 직장가입자의 보수월액인 월급에 따른 직장보험료 계산기로 위의 4대 보험료 계산기보다 조금 더 정확하게 건강보험료 소득 계산할 수 있지만 보수월액(월급)이 변경되거나 보수(월급) 외 소득이 발생 또는 변경되거나 장기 요양 보험료 감경 여부에 따라 실제 보험료와 다를 수 있습니다.

월급 이외의 연 소득의 종류는 총 4가지로 ① 사업소득 등② 연금소득 그리고 ③ 근로소득④ 분리과세 주택임대 소득이 있습니다.

① 사업소득 등에는 사업소득뿐만 아니라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그리고 기타소득이 있습니다.

② 연금소득③ 근로소득은 입력한 금액의 50%만 건강보험료 계산에 반영됩니다.

④ 분리과세 주택임대 소득의 경우 장기 임대 신고는 80%만큼 계산되며 단기 임대신고는 40%만큼 건강보험료 계산에 반영됩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 직장가입자의 소득에 따른 건강보험료를 계산하고 싶으신 분이라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직장가입자 건강보험 계산기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기 바로가기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소득 기준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120%2,675,000원95,183원24,266원
130%2,897,000원103,010원35,615원
140%3,120,000원110,648원48,566원
150%3,343,000원119,657원61,984원
160%3,566,000원127,174원68,822원
170%3,789,000원134,671원80,190원
180%4,012,000원142,346원91,876원

2024년 기준 기준 중위소득 120%부터 180%의 1인 가구의 소득에 따른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를 확인하여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 2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소득 기준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100%3,683,000원130,901원74,359원
110%4,051,000원144,011원94,385원
120%4,420,000원157,035원109,680원
130%4,788,000원169,859원126,688원
140%5,156,000원183,909원131,902원
150%5,524,000원196,672원146,739원
160%5,893,000원211,316원162,847원
170%6,261,000원224,280원177,953원
180%6,629,000원235,283원190,636원

2024년 기준 기준 중위소득 100%부터 180%의 2인 가구의 소득에 따른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를 확인하여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소득 기준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100%4,715,000원167,876원123,611원
110%5,187,000원183,909원131,902원
120%5,658,000원202,377원152,948원
130%6,130,000원217,374원170,355원
140%6,601,000원235,283원190,636원
150%7,072,000원251,147원210,599원
160%7,544,000원271,291원233,543원
170%8,015,000원289,638원254,448원
180%8,487,000원304,986원271,091원

2024년 기준 기준 중위소득 100%부터 180%의 3인 가구의 소득에 따른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를 확인하여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소득 기준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100%5,730,000원205,281원156,318원
110%6,303,000원224,280원177,953원
120%6,876,000원247,170원205,217원
130%7,449,000원265,854원227,424원
140%8,022,000원289,638원254,448원
150%8,595,000원304,986원271,091원
160%9,168,000원336,105원303,332원
170%9,741,000원348,552원317,019원
180%10,314,000원377,299원351,294원

2024년 기준 기준 중위소득 100%부터 180%의 4인 가구의 소득에 따른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를 확인하여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지역가입자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 계산보험료 부과점수 x 부과점수당 금액으로 계산합니다.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은 전월세를 포함한 재산소득 그리고 자동차 등을 기준으로 정한 부과요소별 점수를 합한 보험료 부과점수에 부과점수당 금액을 곱하여 계산하며 경감률 등을 적용하여 세대 단위로 부과합니다.

보험료 부과점수의 경우 소득 금액이 336만 원 초과 7억 1,776만 원 이하라면 95.25911708점에 336만 원을 초과하는 소득 1만 원당 1만 분의 2,835.0928점을 더한 점수이며 소득 금액이 7억 1,776만 원 초과한다면 20,348.90점입니다.

부과점수당 금액의 경우 2024년 기준 208.4원이며 이는 2023년의 부과점수당 금액과 동일한 금액입니다. 최근 5년 동안의 부과점수당 금액을 살펴보면 2023년과 2024년은 208.4원, 2022년은 205.3원, 2021년은 201.5원, 2020년은 195.8원이었습니다.

직장가입자 보수월액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의 보수월액 건강보험료 계산보수월액 x 건강보험료율로 계산합니다.

보수월액의 경우 동일 사업장에서 당해 연도에 지급받은 보수 총액을 근무 월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건강보험료율의 경우 2024년의 건강보험료율은 7.09%로 이는 2023년의 건강보험료율과 동일합니다. 최근 5년 동안의 건강보험료율을 살펴보면 2023년과 2024년은 7.09%이며 2022년은 6.99%, 2021년은 6.86%, 2020년은 6.67%였습니다.

하지만 직장가입자 보수월액 건강보험료 계산할 때 2024년 기준 건강보험료율인 7.09%를 가입자가 모두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2024년 기준 가입자가 3.545% 부담하며 사용자가 3.545% 부담하는데 보험료 부담 비율의 경우 대부분은 가입자와 사용자가 각각 50%씩 부담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의 경우 가입자가 50% 부담하며 사용자가 50% 부담하며 공무원의 경우 가입자가 50% 부담하며 국가가 50% 부담합니다. 하지만 사립학교의 교원의 경우 가입자가 50% 부담하지만 사용자가 30% 부담하며 국가가 20% 부담합니다.

직장가입자 소득월액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의 소득월액 건강보험료 계산{(연간 보수 외 소득 – 2,000만 원) / 12} x 소득 평가율 x 건강보험료율로 계산합니다.

연간 보수 외 소득의 경우 연간 보수월액을 제외한 직장가입자의 소득을 뜻하며 이는 1년 동안 2,000만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연간 보수 외 소득에서 2,000만 원을 뺀 금액에 12를 나누어 계산하게 됩니다.

소득 평가율의 경우 소득의 종류에 따른 금액 비율로 근로소득과 연금소득 vs 사업 소득, 이자 소득, 배당 소득, 기타 소득에 따라 소득 평가율이 정해집니다.

근로소득과 연금소득의 소득 평가율은 「소득세법」에 따른 소득의 합계 금액의 50%입니다. 단, 연금소득 중 「소득세법」 제20조 3 제1항 제1호의 공적연금소득은 같은 조 2항을 적용하지 않고 과세기간에 발생한 연금소득 일체를 연금소득으로 계산합니다.

사업소득과 이자소득 그리고 배당소득과 기타소득의 소득 평가율은 「소득세법」에 따라 산정한 소득 금액의 100%입니다.

건강보험료율의 경우 2024년은 7.09%이며 이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023년의 건강보험료율과 동일한 비율입니다.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건강보험료를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3가지 종류의 계산기와 소득 기준에 따라 건강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는 산정 기준표 그리고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산정 기준표를 확인하여 가구원 수에 따른 소득을 확인하여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건강보험료를 얼마 내는구나 간편하게 확인한 후 3가지 종류의 계산기를 통해 모의 계산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추가로 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내용에서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을 읽으신 모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지금까지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건강보험료 납부(9가지 납부 방법)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6가지 발급 방법
– 2024년 자동차세 계산(차종별 자동차 세금)
– 2024년 자동차세 연납 신청(약 4.7% 자동차세 할인)
부가세 신고 기간 및 계산 방법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기간 및 신고 방법

해당 글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글의 내용은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따라서 해당 글을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해당 글을 발행한 블로그와 그 발행자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참고: 국민건강보험공단